A pioneering laboratory specializing in angiogenesis, genome editing, metabolism and drug discovery.

과거 분자생물학을 이끌어가던 패러다임들은 대부분 웨스턴 블롯과 RT-PCR로 대표되는 단일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해가는 노동집약적 과정들에 의해 이루어져왔습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informatics와 sequencing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일세포 RNA 서열 분석(scRNA-seq)이 생물학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전체적으로 세포의 특징과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툴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scRNA-seq는 개별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발현을 프로파일링하는 강력한 도구로, 세포 간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그 세포의 미세 환경에서의 다양성 및 특이성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수천 개의 개별 세포 간에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세포 유형과 상태를 식별하고, 발달 경로를 설명하며, 유전자 간의 조절 관계를 밝혀낼 수 있습니다.


단일세포 RNA 서열 분석법은 앞으로의 생물학 연구에 기존의 웨스턴블롯, RT-PCR로 대표되던 유전자 발현량 비교법을 대체하며 점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입니다.  


이러한 대규모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기법들은 (파이썬과 같은 coding 및 R과 같은 통계프로그램 등) 생물학 연구애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할 구성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헌우 교수 연구실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신호전달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위와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생물학 이러한 기술들의 결합은 질병 진행 이해, 잠재적 치료 타겟 발견, 신규 치료법 개발 등의 연구 영역에서 돌파구를 이룰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